본문 바로가기
한국전통주와 인문학

금주령에 맞서 술을 숨긴 기발한 방법들

by 블로그 아지트 2025. 5. 3.

금주령에 맞서 술을 숨긴 기발한 방법들

금주령에 맞서 술을 숨긴 기발한 방법들

조선 시대에도 술은 금지됐다

조선 시대는 유교 윤리를 바탕으로 한 나라였습니다.

 

백성이 지나치게 취해 사회 질서가 흐트러지는 것을 막기 위해, 왕은 때때로 ‘금주령’을 내렸습니다.

 

특히 흉년, 국상, 역병, 반란이 일어난 해에는 공식적으로 술을 빚거나 파는 것이 금지되었습니다.

 

하지만 술은 사라지지 않았다

사람들은 술을 사랑했습니다.

그래서 금지되어도 몰래 술을 빚고, 감추고, 나누었습니다.

 

‘금지’가 곧 ‘끝’은 아니었던 셈입니다.

당시 백성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술을 숨겨 금주령을 피해 갔습니다.

 

그 방법들은 때론 치밀했고, 때론 아주 일상적이었습니다.

 

가장 흔한 위장술: 된장독과 장독대

장독은 조선 가정의 필수품이었습니다.

된장, 간장, 고추장이 익어가는 장독대는 눈에 띄지 않는 공간이었죠.

 

그래서 술을 빚는 사람들은 술독을 된장독처럼 꾸미거나, 술 항아리를 장 항아리 틈에 끼워 숨기곤 했습니다.

색과 냄새가 비슷해 구분하기 어려웠습니다.

 

지하에 판 ‘비밀 저장고’

일부 부유한 양반 가문은 땅을 파서 술 저장고를 따로 만들었습니다.

문밖에서 봐서는 술이 있다는 흔적조차 남지 않도록 철저히 숨겼습니다.

 

위에는 장작이나 짚을 덮어두고, 입구는 곡식창고 뒤편처럼 꾸며 조사도 피했습니다.

 

‘약’이라 속이기

전통주는 약재를 넣어 빚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어떤 이들은 술을 ‘약’이라며 당당하게 내놓았습니다.

 

인삼주, 생강주, 감초주 같은 이름을 붙이면 조사관들도 쉽게 넘어갔죠.

실제로 병을 고친다고 주장하며 버티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금지된 술, 그리고 사람의 지혜

술을 숨기는 기술은 단순한 위반이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삶을 이어가기 위한 지혜이자, 공동체의 문화였기 때문입니다.

 

조선 사람들에게 술은 기쁠 때도, 슬플 때도 함께하는 존재였습니다.

금주령은 일시적이었지만, 술에 담긴 감정과 삶은 계속 이어졌습니다.